참고 사이트 : [우분투에서 Redmine Server 구성하기(Part 1)] http://ioriy2k.pe.kr/archives/4762
1. Redmine 이란
Project를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웹 어플리케이션이다.
- 여러 Project 생성 가능
- 버그관리시스템
- Gantt Chart와 Calendar 지원
- News, 문서, 파일 관리, Wiki, Forum 지원
- SCM과 Project 통합관리(SVN, CVS, Git, Mercurial, Bazzar, Darcs)
2. 설치
설치목록
- Ubuntu Server 설치
- Apache + PHP + MySQL 설치
- Redmine 설치
- Passenger 설치
- 각 프로그램 설정.
2.1 APM 설치하기
각 설치 방법은 검색.
2.2. Redmine 설치
sudo add-apt-repository ppa:ondrej/redmine sudo apt-get update sudo apt-get install redmine redmine-mysql
설치 도중에 dbconfig-common을 사용하여 DB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: 예
Redmine에서 사용할 DB 종류 선택 화면 : mysql
MySQL 설치할 때 입력했던 관리자 계정 암호 입력 : ””””””
비밀번호 확인 : ””””””
Web Server와 연동하기 위한 Apache의 DocumentRoot인 /var/www에 Redmine접속을 위한 Directory 를 Link 함.
sudo ln -s /usr/share/redmine/public /var/www/redmine
※ 본인의 경우 apache의 DocumentRoot를 /home/arisu/www 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사용함.
sudo ln -s /usr/share/redmine/public /home/arisu/www/redmine
2.3 Passenger 설치
Passenger는 Ruby를 연동하기 위한 Module.
주의 : 12.04의 libapache2-mod-passenger는 버전이 낮아서 설치된 Redmine에서 정상동작하지 않는다고 함. no such file to load -- dispatcher Error 발생한다고 함.
미리 libapache2-mod-passenger 패키지 삭제. 최신 버전은 passenger 설치시 다시 설치됨
sudo apt-get remove libapache2-mod-passenger
최신 Passenger 설치한다.
sudo gem install passenger
Passenger가 설치완료되면 Apache와 연동하기 위한 Module을 Build 한다.
sudo apt-get install libcurl4-openssl-dev libssl-dev zlib1g-dev apache2-prefork-dev libapr1-dev libaprutil1-dev sudo passenger-install-apache2-module
질문 화면이 나옴. Enter.
Build가 모두 완료되면 Message가 나옴. 이 메시지는 apache설정에 추가해야 할 내용이므로 다른 곳에 잘 복사해둔다. 각 시스템마다 다를 수도 있을 듯하다.
참고 사이트에서는 아래와 같았지만
LoadModule passenger_module /var/lib/gems/1.8/gems/passenger-3.0.17/ext/apache2/mod_passenger.so PassengerRoot /var/lib/gems/1.8/gems/passenger-3.0.17 PassengerRuby /usr/bin/ruby1.8
본인의 경우는 Passenger가 3.0.17 이 아닌 4.0.2 였다.
3. 설정하기.
3.1 Apache 에 Passenger에 대한 내용을 설정하기
apache에 Passenger에 관한 내용을 설정한다.
모듈 Loading을 위해 입력.
sudo vim /etc/apache2/mods-available/passenger.load
다음 내용을 입력한다.
LoadModule passenger_module /var/lib/gems/1.8/gems/passenger-3.0.17/ext/apache2/mod_passenger.so
입력한 내용은 Passenger를 빌드했을 때 나온 메시지에 있다.
최종 작성된 Passenger.load 파일..참고만 하자.
Passenger Module 설정을 위해 입력.
sudo vim /etc/apache2/mods-available/passenger.conf
PassengerRoot /var/lib/gems/1.8/gems/passenger-3.0.17 PassengerRuby /usr/bin/ruby1.8 PassengerDefaultUser www-data
작성된 파일을 참조한다.
3.2 Apache의 기본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
Apache의 Default Site에 대한 설정을 수정한다.
sudo vim /etc/apache2/sites-available/default
<VirtualHost>와 </VirtualHost> 사이에 다음 내용 추가.
<Directory /var/www/redmine> RailsBaseURI /redmine PassengerResolveSymlinksInDocumentRoot on </Directory>
※ 본인의 경우 Apache의 DocumentRoot를 변경하였기에 아래와 같이 입력함.
<Directory /home/arisu/www/redmine> RailsBaseURI /redmine PassengerResolveSymlinksInDocumentRoot on </Directory>
4. 실행하기
모든 설정이 끝난 경우엔
passenger 와 apache를 재 기동해 준다.
sudo a2enmod passenger sudo service apache2 restart
5. Troubleshooting.
'OS-Linux > 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2.04] Ubuntu Desktop 설치하기. (0) | 2013.05.29 |
---|---|
[8.10] Ubuntu에서 Emacs 설치하기 (1) | 2009.05.18 |
[8.10] 다중 모니터 사용해보자 (0) | 2009.05.17 |
[8.10] 자판의 Caps Lock을 Ctrl로 (0) | 2009.05.17 |
[8.10] 압축풀지않고 그림 보기 - Comix (0) | 2009.05.16 |
댓글